건강/고사성어

[고사성어] "고명조예(沽名釣譽), 허상 뒤에 숨은 진실

필라이프 Phil Life 2025. 3. 31. 15:19
728x90
반응형

 

'고명조예(沽名釣譽)'라는 사자성어는 '이름을 사고 명예를 낚시하다'라는 의미로, 우리에게 깊은 성찰을 요구하는 개념입니다. 이 표현에서 '고(沽)'는 정상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무언가를 획득하는 행위를, '조(釣)'는 물고기를 낚시하듯 남을 속이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두 글자가 합쳐져 '부정한 방법으로 이름과 명예를 얻으려는 행위'라는 경계해야 할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고대 중국의 사상서인 관자(菅子)에서는 "釣名之人, 無賢士焉(조명지인, 무현사언)"이라 하여 "속여서 이름을 얻는 사람 중에는 현자가 없다"고 단언했습니다. 이는 진정한 지혜를 갖춘 사람이라면 그릇된 방법으로 명성을 쌓지 않는다는 가르침입니다. 후한서 일빈전서에서도 "저들은 비록 이치가 확실하고 기세가 장중하지만 이름을 사는 자와 비슷하다"라고 기록하여, 겉으로는 그럴듯해 보여도 그 본질이 허황된 행위를 경계했습니다.

 

 

이러한 고명조예의 개념은 수천 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그 형태만 달라졌을 뿐, 본질은 동일한 고명조예의 사례들을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소셜 미디어에서 '좋아요'와 팔로워 수를 늘리기 위해 조작된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학계에서 연구 실적을 부풀리기 위해 데이터를 조작하는 행위, 기업이 실적을 과장하여 투자자를 유치하는 행위, 혹은 정치인이 실현 불가능한 공약으로 유권자의 표를 얻으려는 시도들이 모두 현대판 고명조예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 시대에는 정보의 진위를 판별하기 어려워지면서 고명조예의 유혹이 더욱 강해졌습니다. 클릭 한 번으로 수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은 빠른 명성을 얻고자 하는 이들에게 부정한 방법을 사용할 유혹을 제공합니다. 가짜 뉴스, 과장된 광고, 조작된 이미지와 영상 등은 모두 현대적 형태의 고명조예입니다.

 

 

이러한 현상이 만연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리 사회가 과정보다 결과를, 내면보다 외형을, 진실보다 인상을 중시하는 풍토가 자리 잡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성공과 명예를 향한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지름길을 찾으려는 유혹도 커집니다. 하지만 관자와 후한서의 가르침처럼, 부정한 방법으로 얻은 명예는 결국 허상에 불과하며 오래 지속될 수 없습니다.

 

 

역사는 고명조예의 결과가 항상 실패로 끝났음을 보여줍니다. 단기적으로는 명성과 이익을 얻을 수 있을지 몰라도, 장기적으로는 신뢰의 상실과 평판의 훼손이라는 더 큰 대가를 치르게 됩니다. 학계의 논문 표절 사건, 기업의 회계 부정 스캔들, 정치인의 거짓말 폭로 등은 부정한 방법으로 얻은 명예가 얼마나 취약한지를 보여주는 사례들입니다.

 

 

고명조예의 문제는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 신뢰 체계를 무너뜨린다는 점에서 더욱 심각합니다. 한 사람의 부정직한 행위가 발각되면, 그와 관련된 모든 영역에 대한 의심이 확산되기 때문입니다. 학문적 부정행위는 학계 전체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정치인의 거짓말은 정치 시스템 전반에 대한 불신을 키웁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러한 고명조예의 유혹에서 어떻게 벗어날 수 있을까요?

 

먼저, 성공과 명예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재고할 필요가 있습니다. 진정한 성공이란 외부의 인정이나 물질적 보상보다는 내면의 성장과 가치 실현에 있음을 깨달아야 합니다. 자신의 진정한 가치와 능력에 기반한 성취만이 지속 가능한 만족감을 가져다줍니다.

 

둘째, 과정의 정직함을 중시하는 문화를 조성해야 합니다. 학교에서는 단순한 성적보다 학습 과정의 성실함을, 기업에서는 단기적 실적보다 지속 가능한 가치 창출을, 사회적으로는 화려한 업적보다 정직한 노력을 인정하고 격려해야 합니다.

 

셋째, 비판적 사고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디지털 시대에 넘쳐나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진실과 거짓을 구분할 수 있는 안목은 필수적입니다. 화려한 겉모습이나 그럴듯한 말에 현혹되지 않고, 그 뒤에 숨은 진실을 볼 수 있는 눈을 길러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개인적 차원에서 자신의 행동을 돌아보는 성찰의 습관이 중요합니다. 명예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정당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지, 타인을 속이거나 해치는 일은 없는지 스스로에게 물어보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명예를 추구하는 것 자체는 결코 잘못이 아닙니다. 인간은 누구나 인정받고 존경받기를 원하는 본능적 욕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그것을 얻는 과정에서 정도(正道)를 지키고 진실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진정한 명예는 부정한 방법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정직하고 성실한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결과물입니다.

 

 

고명조예의 교훈은 오늘날 성과 지향적이고 외형적 성공을 지나치게 추구하는 우리 사회에 중요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화려한 겉모습보다 내실 있는 진실을, 빠른 성공보다 올바른 과정을, 일시적인 명성보다 지속 가능한 가치를 추구하는 지혜를 발휘할 때, 우리는 비로소 고명조예의 유혹에서 벗어나 진정한 성취와 명예의 길을 걸을 수 있을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